전체 글 166

<부의 속도>

어느날 우연히 유튜브에서 포루투칼로 이민과 동시에 경제적 자유를 이룬 한 가족의 이야기를 접했다. 가족과 함께 여유로운 시간을 즐기는 모습을 보면서 부러운 마음을 감출 수 없었다. 결국 내가 경제적 자유를 이루고자 하는 동기도 가족과 많은 시간을 함께 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나보다 앞서 그 길을 걷고 있는 저자의 이야기가 궁금해 책을 읽게 되었다. 라는 책의 제목이 무색하게 저자는 분산투자를 통해서 안정적으로 자산을 불려 나갔다. 국내 부동산이 좋을 때 국내 부동산 투자로 부를 늘리고, 정부의 규제가 커지기 시작할 때 즈음에 미국 주식으로 투자처를 옮겼다. 성장주, 배당주, 채권, 금에 분산투자하면서 코로나 폭락장에서 발 빠르게 시장 상황에 대응하여 자산을 지켜냈고, 이후의 강세장을 잘 활용했다. 언뜻 운..

2021.03.27

좋은 주식은 결국 제갈길을 간다 (feat. 청담러닝)

청담러닝은 IT 기술을 활용한 신사업 전개, 해외사업 전개를 활발히 하는 기업으로, 배당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종목 중 하나지만 성장성이 좋아서 큰 시세차익도 기대하고 있다. 작년 12월 중순부터 올해 1월 중순까지 하락기간에 평가금액 1,000만원을 맞추는 수준으로 물타기를 했다. 그 결과 매수금액은 1,166만원까지 커졌다. 이번 주 화요일까지만 해도 수익률이 마이너스였는데, 금요일인 오늘 수익률은 23%을 돌파했다. 1,000만원에 맞췄던 평가금액은 1,400만원을 넘겼다. 이렇듯 좋은 주식은 시장의 수급에 따라 하락하는 구간도 있을 수 있겠지만 결국 제갈길을 간다. 단기 수익을 노리는 외국인, 기관, 개인은 언제나 싸게 사고 비싸게 팔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매도는 2루타(수익률 100%) 치..

투자일지 2021.03.26

중개형ISA 포트폴리오

2021년 3월 25일 월급날 중개형ISA 계좌에 약 120만원의 투자금을 입금하고, 미리 고민해서 설계한 포트폴리오에 맞춰서 매수를 진행했다. 매달 25일(월급날) 투자금 입금 후 LG우, 현대차3우B, 삼성전자우, 맥쿼리인프라를 동일 비중으로 리밸런싱하는 전략이다. 중개형ISA는 3년 이후 원하는 시점에 정산할 때, 수익-손실 200만원까지 비과세, 초과 수익에 대해서는 9.9% 분리과세하는 상품이다. 200만원 비과세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3년 만기마다 200만원의 수익을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전략을 짜야한다. 국내 개별종목은 시세차익에 대하여 2022년까지는 세금이 발생하지 않고, 2023년부터 연 5,000만원까지 비과세다. 따라서 중개형ISA 계좌에 배당이 없거나 미미한 국내 개별종목..

포트폴리오 2021.03.26

미래에셋대우2우B 매도, 삼성전자우 매수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20원 220원 260원 200원 2020년 실적이 워낙 좋아서 280~300원 기대했는데, 회사는 배당을 삭감하고 보통주 1,000만주를 소각하는 결정을 했다. 보통주 주주들만 개이득. 좋은 회사고 전망도 밝다고 생각하지만, 배당주 투자자에게 배당 삭감은 매도의 이유가 된다. 전량 매도하여 확보한 예수금으로 삼성전자우를 매수했다. 4월에 받을 배당금이 이번 매도로 인한 손실액보다 조금 클 것 같지만, 시간이라는 기회비용을 날렸으므로 실패한 투자라고 볼 수 있겠다. 그나마 최근 삼성전자우가 조정 받고 횡보하고 있는 시점에 매수할 수 있는 여력을 제공해 주어서 조금은 위로가 된다. 미래에셋대우2우B를 매수할 당시에 삼성전자우를 매수했다면 훨씬 좋았겠지만 ... ..

투자일지 2021.03.20

한국판 Portfolio Visualizer, Invest Helper (국내상장 주식 백테스트 솔루션)

Portfolio Visualizer(https://www.portfoliovisualizer.com/backtest-portfolio)를 활용하면 미국상장 주식에 대한 백테스트를 간단히 수행해볼 수 있다. 월수익률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국내주식도 백테스트를 돌려볼 수 있는데, 현재는 유료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기능이다. 작년 육아휴직 기간에 국내주식 백테스트 기능을 제공하는 portoliovisualizer.kr을 만들어 봐야겠다고 생각했지만, 능력 부족, 시간 부족으로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그런데 감사하게도 어느 개인 개발자분께서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훌륭한 서비스를 만들어 주셨다. https://www.backtest.kr/ 국내주식 퀀트 백테스트의 경우, 퀀트에 널리 사용되는 지표들(PER,..

투자정보 2021.03.11

2021년 2월 배당기록 (세후 12.7만원)

2021년 2월에는 2개의 미국 월배당 ETF와 1개의 국내 ETF로부터 세후 12.7만원의 배당금을 수령하였다. 계좌 종목 주기 배당금 배당 DGRW 월 ₩74,654 배당 SPHD 월 ₩48,463 연금 TIGER 부동산인프라고배당 분기 ₩720 - - - ₩127,377 연금계좌에서 투자 중인 TIGER 부동산인프라고배당은 노후의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위한 상품 중 하나로 생각하고 있다. 은퇴시점에 가까워 질수록 조금씩 TIGER 미국나스닥100을 TIGER 부동산인프라고배당으로 바꿔 나갈 것이다. 주식으로 번 돈을 땅에 묻어두는 느낌으로. (2021년 3월 1일 기준 시가배당률 4.8%) 작년 9월부터 배당기록을 남기기 시작한 이래 최저 배당금을 기록하게 되었다. 배당률 11%를 자랑하는 QYLD의..

배당기록 2021.03.01

동적자산배분전략 VAA 구글 스프레드시트 (feat. 할투)

할투에 소개된 동적자산배분전략 중 하나인 VAA를 위한 구글 스프레드시트를 만들어 봤다. VAA 전략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공격자산: SPY(S&P 500), VEA(미국외선진국), VWO(신흥국), AGG(미국채권종합) 수비자산: SHY(미국단기채), IEF(미국중기채), LQD(미국회사채) 절대 모멘텀: 4개 공격 자산 중 하나이라도 최근 수익률이 마이너스면 공격 자산 매도, 수비 자산 매수 상대 모멘텀: 공격/수비 자산 중 최근 가장 잘 나가는 1개 매수 최근의 기준: 12 * 1개월 수익률 + 4 * 3개월 수익률 + 2 * 6개월 수익률 + 1 * 12개월 수익률 월별 리밸런싱 사용법은 간단하다. 한 달에 한 번 아래 링크를 열어보고 Ratio에 적힌 투자 비율에 따라 매수/매도를 하면 된다..

투자전략 2021.02.09

2021년 1월 배당기록 (세후 38.9만원)

2021년 1월에는 세후 38.9만원의 배당금을 수령하였다. 계좌 종목 배당금 배당 DGRW ₩91,537 배당 SPHD ₩48,689 배당 QYLD ₩177,526 성장 QQQ ₩1,062 성장 ARKK ₩30,213 성장 ARKW ₩6,347 성장 ARKG ₩4,414 성장 ARKQ ₩4,403 성장 ARKF ₩413 자산배분 SWAN ₩15,321 연금 TIGER 미국나스닥100 ₩9,200 ₩389,125 배당에 대한 기대감이 전혀없는 ARK* ETF들에서도 연 배당금이 나왔다. ARKK는 주당 $2.04를 주고 시가 배당률도 1.46%나 되어서 물량을 충분히 모으면 꽤 의미있는 배당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다. 월배당 ETF들의 배당 지급시기는 들쭉날쭉하다. QYLD는 지난달에 받지 못한 배당과..

배당기록 2021.01.30

엑셈 수익률 6년만에 플러스 전환

2015년 1월 상장 후 얼마 안 되어서 투자를 시작했을 때 매수가는 5~6천원 근처였고, 6개월 안에 만 원은 뚫어줄거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수익률은 오랫동안 마이너스 구간을 벗어나지 못했고, 심지어 코로나가 터졌던 3월에는 1,700원까지 떨어졌다. 그런데 이번주에 6년만에 플러스 전환에 성공했다. (두 개로 보이는 이유는 일부를 누가 공매도 하려고 빌려갔기 때문) 6년 전 투자는 너무 성급했다. "책을 쓸 정도로 기술력이 좋고 DB성능관리 솔루션 시장 점유율 1위니까 앞으로도 잘 되겠지"가 투자 아이디어의 전부였다. DB성능관리 솔루션만으로 성장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인식한 엑셈은 전환사채를 발행해 다른 기업을 인수했다. 그 과정에서 재무제표가 출렁였고 주가의 흐름도 좋지 않았다.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투자일지 2021.01.27

블로그의 가치 (애드센스 월수입 $30 돌파)

매달 $30 이상의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이 블로그의 가치는 얼마일까? 매달 배당금을 지급하는 배당성장 ETF DGRW와 비교해봤다. 고배당 ETF 대신 배당성장 ETF를 선택한 이유는 투자 인구증가에 의해 애드센스 수익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DGRW의 월 평균 배당금은 $0.085. 매달 $30를 받으려면 353주가 필요하고, 353주를 매수하려면 $19,047가 필요하다. 한화로 2,072만원. 이 블로그는 대략 2,000만원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미국 배당주 투자를 해본 사람들은 알 것이다. 매달 $1를 더 받기 위해서 필요한 자본이 생각보다 크다는 것을. 한 푼이라도 더 아껴 배당주를 1주라도 더 매수해서 매달 받는 배당금을 $1라도 늘리고 싶은 마음을. 그래서 매달 $3..

투자일지 2021.01.03